시선뉴스=정혜인 기자ㅣ지난달 25일, 한국은행은 ‘2023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는 전기대비 0.6% 증가했다.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GDP 성장률보다 낮은 0.4% 증가를 기록했다. 여기서 말하는 ‘GDI’란 무엇일까.

국내총소득(GDI: Gross Domestic Income)은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주는 지표이다. 실질 GDI가 마이너스라면, 구매력이 떨어져 국민의 체감경기와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GDI와 헷갈릴 수 있는 것으로는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이 있다. GDP는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이다.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GDP에 포함된다. 이 GDP는 경제 성장의 지표로 활용된다.

GDP가 국내 생산활동의 수준을 측정한다면, GDI는 이 생산물을 만들기 위해 기여한 대가로 받는 국내총소득을 측정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 차이는 무역으로 인해 나타난다. 수출품과 수입품 사이의 상대가격이 달라지면, 수출품 생산을 통해 올린 소득으로 구입할 수 있는 수입품의 양도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컵 1개를 수출해 공책 1권을 수입하는 교역상황이라고 가정해 보자. 만일 공책의 가격이 하락해 컵 1개로 공책 2권을 수입할 수 있게 되면 소득 가치가 공책 1권에서 2권으로 늘어난다. 이렇게 수입품의 가격이 수출품의 가격보다 더 빠르게 내려가거나, 반대로 수출품 가격이 수입품 가격보다 크게 상승하면 교역조건이 개선된다. 그러면 국민들의 실질적인 소득도 늘어난다.

GDI를 구하기 위해서는 GDP에 국외에서 순수하게 벌어들인 소득을 더해야 한다. 한 나라의 경제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생산적인 부분 이외에도 교역조건을 고려한 구매력도 따로 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 GDI가 도입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총생산(GNP: Gross National Product)과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이라는 개념도 있다. 둘 다 ‘국내’가 아닌 ‘국민’의 총생산과 총소득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점이 GDP, GDI와의 차이점이다. GDP가 국적에 상관없이 한 나라 안에서 만들어진 재화의 가치를 가리켰다면, GNP는 국적이 동일한 경우 만들어진 장소와 관계없이 생산 가치를 합산한다.

그리고 GNI는 한 나라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지표가 된다. 순수하게 한국인이 벌어들인 소득이 우리나라 GNI이며, 이를 인구수로 나눈 것이 1인당 GNI이다. 그래서 1인당 GNI를 바탕으로 매긴 순위를 보면 상위권에 경제 규모가 작은 나라가 대거 포함되어 있다. 

올해 경기 전망과 관련해 앞서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계속 내수 부진이 주요 하방 요인으로, 수출 개선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전체적으로는 연간 경제가 개선세를 유지하면서 2%대 초반 성장률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해 높은 금리·물가에 짓눌린 민간 소비가 올해는 어떨지 아직 지켜보아야 하겠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