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기자/디자인 이정선 pro]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 오고 있다. 추석에는 가족들이 모여 수확한 곡식으로 조상님께 감사를 드리는 차례를 지낸다.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는 차례상을 차려야 하는데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은 자신의 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하여 특색이 있었다. 각 지역마다 어떤 음식들이 차례상에 올랐을까?

경기 지역은 조선시대부터 한양을 포함한 중심지였다. 경기 지역의 차례상에는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는 통북어를 올려 집안의 평화를 기원했다. 또한 생선류는 굴비를 으뜸으로 쳤지만 참조기나 가자미를 올리기도 하며 배추를 고명으로 하는 녹두전을 올린다.

경상도 지역, 특히 경북 지역에서는 차례나 제사상에 상어 고기를 산적으로 구워 올렸다. 상어고기를 토막내어 간을 친 고기를 대구 사투리로 돔배기라고 한다. 경남지역은 바다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조기와 민어, 방어, 도미 등 여러 종류의 생선과 어패류가 올라왔다.

전라도 지역은 전라도에서 가장 유명한 음식인 홍어를 차례상에 올린다. 바다가 인접해 해산물이 풍부한 전라도는 필수 음식인 홍어 외에도 많은 해산물을 차례상에 올린다.

충청도는 예로부터 곡창지대였기 때문에 농수산물이 풍부하여 다양한 음식이 차례상에 올랐다. 민물고기 어탕이나 조기, 대구포, 상어포, 오징어, 가오리포 등의 건어물들도 자주 올라왔다. 호남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말린 홍어, 병어, 가자미, 낙지, 서대묵 등도 올라왔고 내륙지역은 배추전, 무적 등 전과 부침류 등이 올라왔다.

제주도는 사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생선이나 전복을 차례상을 올린다. 특이한 점은 육지에서는 흔한 밤이나 대추, 감 등의 유실수가 별로 없어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 것이 관례다.

각 지역의 자연 환경과 쉽게 구할 수 있는 특산물로 마련했던 차례상.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만으로도 그 사람의 출신 지역을 짐작할 수 있다. 이번 추석, 가족 친지들과 즐겁게 차례상을 차려보도록 하자.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