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남녀의 임금격차가 가장 큰 나라는 한국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격차 폭이 10년째 거의 변동이 없는 상태다.

향후 산업구조가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바뀌고 있어 격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30일 OECD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39%에 달해 통계가 있는 28개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남녀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39% 정도 임금을 덜 받는다는 의미다.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OECD 28개국 평균(15%)의 2.6배에 달한다. 2위 일본(29%)과도 10%포인트나 차이가 난다.

다음으로는 독일, 이스라엘(이상 21%),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이상 19%), 영국, 체코(이상 18%) 순으로 임금격차가 컸다.

반면 헝가리, 폴란드, 스페인은 6%로 가장 낮았고 뉴질랜드(7%), 노르웨이(8%), 벨기에(9%)도 남녀 간의 임금 차이가 크지 않았다.

2000년에도 한국 남녀 임금격차는 40%로 OECD 회원국 중 1위였다. 이후 10년 간 격차는 1%포인트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 기간 이웃 일본이 34%에서 29%로 낮아진 것을 비롯해 이스라엘이 28%에서 21%로, 미국 23%에서 19%로, 캐나다 24%에서 19%로, 오스트리아 23%에서 19%로 각각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OECD가 올해 세계여성의 날(3월8일)을 맞아 펴낸 '젠더 이니셔티브' 보고서에서도 2009년 기준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38.9%로 관련 통계가 있는 27개 회원국 중 1위였다.

한국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현저히 낮은 것은 출산·육아 부담에 따른 경력단절 때문이다. 육아를 마치고 다시 취업해도 지위가 낮고 고용 안정성이 떨어져서다. 또 한 직장에 오랫동안 근무하더라도 단순 사무직이나 비정규직이 많은 것도 그 이유다.

작년 여성 취업자 중 자영업자 등을 제외한 순수 임금근로자는 73.6%였는데 이중 상용직이 37.0%, 임시직이 28.7%, 일용직이 7.9%였다. 고용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일용직이 상용직과 거의 같았다.

산업 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바뀌고 있어 남녀 임금격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는 고용 안정성이 좋지 않고 임금도 낮은 편이어서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영옥 선임연구위원은 "유럽은 복지정책이 잘 운영되다 보니 공공부문에서 사회복지사, 요양보육사 등의 여성 일자리를 만들어 흡수하는 면도있다"며 "사회 서비스가 확충될수록 질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