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디자인=이윤아Pro | 최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시장에서 국내 콘텐츠가 세계적인 사랑을 받으며 한국의 문화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심각한 저작권 침해 사례가 발생해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큰 인기를 모은 ‘더 글로리’의 불법 스트리밍 사태가 불거지면서 사회적인 공분을 사고 있는데, 이러한 사태를 빚은 ‘누누티비’는 과거부터 문제가 되어 왔기에 근본적인 대책 마련 목소리가 높다.  

‘누누티비’는 불법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로 2021년부터 해외에 서버를 두고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콘텐츠와 드라마, 영화 등을 불법으로 제공하고 있다. 여러 차례 접속차단 조치가 이어졌음에도 주소를 우회하며 운영을 계속하고 있어 그 심각성이 높은 상황이다.  

특히 국내 콘텐츠가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만큼 ‘누누티비’는 국내 작품들에 큰 피해를 끼쳤다. 누누티비는 2021년 개설된 이후 국내외 유료 OTT의 신작 콘텐츠가 공개되는 즉시 스트리밍해 문제가 됐다. 불법 콘텐츠 대응 기구인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가 URL(인터넷주소) 차단에 나섰지만 누누티브는 도메인 변경 등 수법으로 운영을 지속해왔다. 영상저작권보호협의체가 추산한 누누티비 내 콘텐츠 조회수가 지난달 기준으로 18억회를 훌쩍 넘기고, 최근 흥행한 넷플릭스의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더글로리'도 무단으로 스트리밍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비판 여론은 더욱 커졌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직접 URL 차단을 강화하고,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의원이 누누티비 같은 사례를 막기 위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국회까지 나섰다. 변 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일정 규모 이상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국내에 캐시서버를 설치할 경우 접속차단을 위한 기술적 조치를 의무화하는 내용이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누누티비처럼 우리나라에 캐시서버를 둔 콘텐츠전송네트워크를 우회하면서 도메인을 변경하는 사례를 잡아내 제재할 수 있다.

방심위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방심위는 "2021년 10월 이후 지금까지 총 20회 시정 요구(접속차단)를 결정했다"며 "생성되고 있는 대체 사이트에 대해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주 2회 통신심의소위원회에 상정, 지속적으로 시정 요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해당 사이트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2022년 4월 문화체육관광부에 특별사법경찰, 국제사법경찰(인터폴)과의 수사 등을 통해 해당 사이트가 폐쇄되도록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누누티비를 제재하기 위한 여론과 조치가 활발해지자 누누티비는 결국 한국 OTT에 한정해 삭제 조치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누누티비는 "국내 OTT 피해에 대해 어느 정도 수긍하며 앞으로 자료요청 또한 국내 OTT 관련된 모든 자료는 처리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했다. 삭제 대상은 웨이브, 쿠팡플레이, 왓챠, 티빙, KT 시즌, 그 외 기타 한국 오리지널 모든 시리즈로 명시했다. 그러나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해외 OTT 콘텐츠들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기에 어떤 방식으로든 불법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불법 스트리밍 문제는 비단 누누티비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글로벌 OTT들도 세계 최대 불법복제 대응조직인 ACE(Alliance for Creative and Entertainment)를 통해 콘텐츠 불법 유통에 대응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블루앵글호스트'(BlueAngelHost), '프라이빗 레이어'(Pri트vate Layer), '루트래커'(RuTracker), '스파이더'(Spider) 등 불법 사이트들이 주로 미국의 손길이 닿지 어려운 중동 등 지역 곳곳에서 탄생과 소멸을 반복하고 있다.

저작자의 피와 땀이 담긴 콘텐츠에 빨대를 꽂아 수익을 얻는 기생충 같은 불법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특히 ‘더글로리’ 사례로 수면 위로 떠오른 '누누티비'가 국내 비판 여론과 정부의 제재 강화에 일단 삭제 방침을 전했지만, 제2, 제3의 누누티비가 계속 나올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선진국들도 완전히 근절하지 못한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들에 의한 피해를 어느 정도나마 최소화하려면 결국 입법 보완, 정부의 지속적 감시, 시청자 인식 변화라는 삼박자가 함께 맞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