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동지(冬至)’는 이십사절기의 스물두 번째 절기로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며, 올해는 바로 오늘 12월 22일이 동지다.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동지에는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작은설이라 하였다. 또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장가가는날’이라고도 부른다.

예로부터 동지에는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는다.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인다.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른다. 작은설로 여겨지는 만큼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전해지며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으로 전하고 있다. 

그런데, 동짓날 팥죽은 왜 먹을까? 팥의 붉은색이 양색(陽色)이므로 음귀를 쫓는 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붉은 팥은 먼 과거부터 벽사(辟邪)의 힘이 있는 것으로 믿어 모든 잡귀를 쫓는 데 사용되었다. 동짓날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를 지내고, 각 방과 장독, 헛간 같은 집안의 여러 곳에 놓아두었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는다.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의 뜻이고 집안 곳곳에 놓는 것은 축귀의 뜻이어서 이로써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낸다고 믿었다. 

이처럼 예로부터 중요한 절기로 여겨져 온 ‘동지’. 그런 만큼 많은 속담에서도 ‘동지’가 등장한다. 

- 동지 때 개딸기 
철이 지나 도저히 얻을 수 없는 것을 바란다는 말

- 동지 지나 열흘이면 해가 소 누울 자리만큼 길어진다 
동지가 지나면 낮 시간이 길어지고 밤 시간이 짧아진다는 말

- 동지가 지나면 푸성귀도 새 마음 든다
동지가 지나면 온 세상이 새해를 맞을 준비에 들어간다는 뜻

- 동지 지나 열흘이면 해가 노루꼬리만큼씩 길어진다
동지가 지나면 밤이 짧아지고 조금씩 낮이 길어진다는 의미

- 배꼽은 작아도 동지팥죽은 잘 먹는다
얼핏 보기에는 사람이 변변치 않은 것 같으나 하는 일이 녹록하지 않다는 의미

- 범이 불알을 동지에 얼구고 입춘에 녹인다
겨울 추위가 동지(冬至) 무렵 시작되어 입춘(立春) 무렵 누그러지는 것을 해학적으로 표현

- 새알 수제비 든 동지팥죽이다, 
음식이나 일이 잘 갖추어진 상태를 의미

작은설이라 불리며 주요 절기 중 하나로 인식되어 온 ‘동지’. 2022년 얼마 남지 않은 동짓날 다가오는 2023년 계묘년을 맞을 저마다의 각오를 다져보자.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