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함께 할 때, 혼자서 울고 싶을 때, 사랑하는 연인과 로맨스를 한껏 더 즐기고 싶을 때, 당신은 어떤 영화를 선택하나요? 많은 영화들 속에서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당신에게 영화를 추천, 요리합니다. 오늘의 영화는 ‘피아니스트(The Pianist, 2002)’입니다. 

IPTV를 이용하거나, 모바일, 혹은 PTT를 통해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정상 편성 시간에 텔레비전을 보는 것이 쉽지 않은 사람들은 플랫폼을 통해 영화를 즐기기도 합니다. 

섹션별로 나뉜 영화에서 꼭 ‘죽기 전에 봐야 할 영화’라고 소개되는 공간이 있습니다. BBC가 추천한 영화이며, 각종 아카데미에서 극찬을 아끼지 않은 영화, 6월 호국 보훈의 달을 맞아 오늘은 가슴 깊이 슬픔과 아픔 그리고 애잔함이 느껴지는 영화  피아니스트(The Pianist, 2002)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피아니스트 (The Pianist, 2002)
드라마, 전쟁 // 2015.06.18 // 148분 // 프랑스, 독일, 폴란드, 영국, 네덜란드 // 12세 관람가
감독 - 로만 폴란스키
배우 - 애드리언 브로디, 토마스 크레취만, 프랭크 핀레이, 모린 립먼, 에밀리아 폭스, 에드 스톱파드

<줄거리> 
1939년 폴란드 바르샤바. 유명한 유대계 피아니스트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은 한 인기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쇼팽의 야상곡을 연주하다 폭격을 당합니다. 이후 유대인을 끊임없이 몰아내기 시작하는 독일군들. 유대인이라면 표시를 하고 다니라는 명령이 내려지고 재산을 많이 소유할 수 없도록 만들기도 했으며, 유대인들이 살아야 하는 거주지를 강제로 옮기는 것을 넘어 강제 노동을 시키기에 이릅니다. 

시간이 갈수록 지옥의 생활을 하게 되는 유대인들. 스필만과 가족들은 결국 게토에서 생활하지만, 결국 수용소로 향하는 기차에 몸을 싣게 됩니다. 가족들을 죽음으로 내보내고 간신히 목숨을 구한 스필만. 가족들과 헤어질 뻔한 일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어떻게든 위기를 넘겼습니다. 그러나 결국 헤어지게 됐고, 스필만은 고독과 공포 속에서 스스로를 지켜나가게 됩니다. 

나치의 세력이 확장될수록 자신을 도와주던 몇몇의 사람마저 떠나자 완전히 혼자가 되었지만, 자신만의 은신처에서 끈질기게 생존을 유지하는 스필만. 또 쫓기고 쫓겨 어둠과 추위로 가득한 폐건물 속에서 은신 생활 중 스필만은 우연히 순찰을 돌던 독일 장교에게 발각되고 지상에서의 마지막 연주가 될지도 모르는 순간, 온 영혼을 손끝에 실어 연주를 시작합니다.

<하고 싶은 이야기> 
- 피아노의 선율, 마음을 울리다 

148분이라는 러닝타임. 영화는 다소 긴 편에 속합니다. 2시간도 채 안 되는 영화들이 많으니, 길다고 할 수 있죠. 그러나 이 긴 러닝타임에도 불구하고 단연 최고로 꼽을 수 있는 장면은 스필만과 독일 장교 호젠펠트가 만나는 순간입니다. 호젠펠트 장교는 스필만에게 직업을 묻고, 스필만은 “피아니스트입니다”라고 답을 하죠. 그리고 장교는 앞에 있던 피아를 가리키며 직접 쳐볼 것을 권합니다. 

실제 스필만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 피아노를 치기 위해 혼 힘을 손가락에 향했다고 합니다. 긴 전쟁으로 피아로는 친지도 너무 오래됐고, 너무 길어버린 손톱과 몸상태로 인해 건반을 하나하나 움직이는 것이 마지막 순간이라고 생각들 어기 때문이라도 합니다. 

결국 스필만은 그 연주로 살아나게 되고, 호젠펠트는 알 수 없는 호의를 베풉니다. 가장 처절하고 가장 외로운 순간의 피아노 선율. 피아노의 선율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구나를 느낄 수 있는 순간입니다. 유대인들이 독일군에게 쫓기며 게토에서 생활하는 모습을 보면, 일제 치하 당시 우리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얼마나 잔인하고, 얼마나 잔혹했는지 조금이라도 우리 조상들의 생활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일제 치하 당시 경험한, 우리 곁에 남은 할머니, 할아버지들의 수는 점점 줄어가고 있습니다. 과거의 일에 연연하면 안 된다며 여러 정치적, 경제적인 이유로 우리의 당시 치욕을 덮으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본다면 왜 역사를 잊으면 안 되는 것인지, 왜 일본의 행동을 비난해야 하는지 느낄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