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홍탁 / 구성 : 조재휘 기자] 2022년 2월 7일 오늘의 이슈를 살펴보는 이슈체크입니다.  

지난 4일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이 열렸습니다. 그런데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출연한 것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에는 소수 민족이 많고 그 가운데 조선족을 표현한 것이라지만 국내 누리꾼들과 학계, 정치권 등에서 중국의 문화 침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 이슈체크에서는 베이징 올림픽 한복 논란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조재휘 기자와 함께합니다.

네, 안녕하세요. 조재휘입니다.

[베이징 = 연합뉴스]
[베이징 = 연합뉴스]

Q. 현재 베이징 동계 올림픽이 한창 진행 중입니다. 그런데 개막식에 등장했던 한복 논란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어떤 식으로 등장했기에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겁니까?
A. 네, 개막식 때 사회 각계 대표, 56개 민족 대표 등이 참여해 중국 국기를 전달하는 ‘소시민들의 국기 전달’이라는 퍼포먼스를 펼칠 때 한복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한복으로 보이는 분홍색 치마, 흰색 저고리를 입고 긴 머리를 하나로 땋아 댕기로 장식한 여성이 오성홍기를 전달했는데요. 이에 대해 세계인이 시청하는 올림픽 개막식을 이용해 중국이 한복을 중국 문화의 하나로 포장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습니다.

Q. 우리 역사를 중국이 자신들의 것으로 삼으려는 움직임이 예전부터 이어지고 있는 것 같은데, 올림픽에서 이런 행동은 보인 것은 처음 아닙니까?
A. 그렇지는 않습니다. 지난 2008년 8월에 열린 베이징 하계올림픽 개회식 때도 한복이 등장했습니다. 당시 식전 행사에서는 지린성 옌볜 가무단의 여성 100여명이 한복을 차려입고 아리랑 민요를 배경으로 부채와 장구춤을 선보인 바 있습니다. 이때도 너무나 한국적인 장면이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하자 국내에서는 불쾌하다는 반응이 나왔었습니다.

Q. 국민정서 악화가 양국관계에 부담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외교 당국의 입장은 어떻습니까?
A. 네, 이번 논란에 대해 외교부는 한복이 전 세계의 인정을 받는 우리의 대표적인 문화 중 하나라는 점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6일, 중국 측에 고유한 문화에 대한 존중과 문화적 다양성에 기초한 이해 증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지속 전달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Q. 강하게 항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외교 당국의 표명이 다소 소극적이지 않냐는 지적은 없습니까?
A. 네, 외교부의 원론적인 입장이 너무 소극적 대응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한복을 입고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을 직접 관전하기도 했는데요. 외교적으로 항의할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그럴 필요까지는 현재 생각 안 하고 있다”며 “다만 양국에 오해 소지가 있는 부분은 중국 체육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서 국내 여론 등을 언급할 필요는 있다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Q. 정치권의 입장도 한번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분위기를 내비치고 있습니까?
A. 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강경한 어조로 중국 당국을 비판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과거에 역사 공정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들의 자존심을 훼손한 사례가 있다면서 그 후에도 계속 동해안, 서해안에 불법 어선을 방치해서 대한민국 국민, 특히 어민의 분노를 사게 한 일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SNS에 “문화를 탐하지 말라. 문화공정 반대”라고 쓰기도 했습니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고구려와 발해는 대한민국의 자랑스럽고 찬란한 역사라고 말하면서 고구려와 발해 역사는 남의 것이 아니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SNS를 통해 “한복은 대한민국 문화”라며 “중국 당국에 말한다. 한푸(漢服)가 아니라 한복(韓服)이다”라고 밝혔습니다.

네, 설명 잘 들었습니다.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한복을 입은 여성이 출연하면서 국내 누리꾼들과 정치권 등에서 중국의 문화 침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로 인해 고조되는 반중정서가 향후 한중관계에 지속해서 부담 요인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관계 당국의 현명한 대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이상 이슈체크였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