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조재휘 / 디자인 이윤아Pro] 자신의 신용정보를 여기저기 사용하다 보니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주거래 은행과 다른 금융권을 같이 이용하는 소비자들도 많기에 자산 관리에 힘든 점도 적지 않다. 이러한 불편한 점들은 개선하기 위해 개인 신용정보를 모아주는 서비스인 ‘마이데이터’가 올해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마이데이터’는 흩어진 개인 신용정보를 한곳에 모아 보여주고 재무 현황·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적합한 금융상품 등을 추천하는 등 자산·신용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인신용정보관리업’이라고도 하며 손쉬운 서비스 덕분에 ‘내 손 안의 금융비서’로도 불린다.

빅데이터 산업의 발달로 개인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종류도 다양해지면서 개인에 대한 데이터 통제권과 개인정보보호도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었다. 공공 기관과 기업에 제공된 개인 데이터들이 관련자의 고의나 실수로 유출되는 사례가 잇따르자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편의성이 제기되었고 금융 분야에서도 마이데이터 산업이 제도화되었다.

사실 이러한 서비스는 핀테크 업계에서는 새로운 분야가 아니다. 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NHN페이코, 뱅크샐러드 등 기업들은 '내 손안의 금융비서'와 같은 이 서비스를 이미 수년간 진행해왔다. 다만 기존에는 사업자들이 고객을 대신해 금융사 사이트에 접속하고 화면을 읽어내는 '스크린 스크레이핑'(screen scraping) 방식을 이용했다면, 마이데이터 전면 시행 이후에는 데이터 표준 API를 통해 금융기관 등에 흩어진 정보를 받게 되는 것이다.

마이데이터는 지난해 12월부터 시범 서비스에 들어갔다. 금융 소비자는 일일이 각 금융사의 앱에 들어갈 필요 없이 마이데이터를 통해 본인 정보를 한눈에 통합 조회할 수 있어 편리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오류 및 불편 호소가 잇따르기도 했다. 

은행권에서는 KB국민·신한·NH농협·하나·우리·SC제일은행 등 10개사가 마이데이터 서비스 본허가를 얻은 상태로, 이 가운데 대부분의 은행은 지난달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은행들은 현행 마이데이터 시스템에서 정보 제공기관들이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오류가 잦다는 점을 공통으로 지적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참여하는 모든 회사의 시스템 개발 수준이 상향 평준화해야 고객이 만족할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은행 마이데이터 이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취합하기 위해 처리해야 하는 동의서 수와 분량이 너무 많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업계의 요청으로 새해 첫날부터 전면 시행 예정이었지만 1월 5일로 조정됐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전면 시행일인 첫날 데이터 트래픽 급증 등으로 장애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개발 인력 대부분이 정상 출근하는 평일로 일정을 조정하자는 업계의 의견을 수용해 전면 시행일을 1월 1일에서 1월 5일로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흩어진 개인 신용정보를 모아 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자산·신용관리까지 도와주는 ‘마이데이터’. 올해부터 서비스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금융당국은 각 금융사의 개인 정보 보호 강화와 더불어 고가 경품 등 과열된 마케팅 자제를 통해 정보 유출 등 각종 사고를 방지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