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홍탁 PD / 구성 : 심재민 기자] 2021년 12월 21일 이슈체크입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들의 ‘수난사’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문 정부의 다섯 번 째 청와대 민정수석, 김진국 민정수석이 아들의 ‘입사지원서’ 논란으로 결국 오늘 사퇴했는데요. 이슈체크에서 김진국 민정수석 아들의 ‘입사지원서’ 논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심재민 기자와 함께합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Q. 먼저, 김 민정수석이 결국 사퇴까지 결정하게 한 아들의 입사지원서 논란, 어떤 내용입니까?
앞서 김 수석 아들(31)이 최근 금융 관련 컨설팅 업체 등 5곳에 낸 입사지원서에 “아버지가 민정수석이니 많은 도움을 드리겠다” 등의 내용을 적은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그는 자기소개서의 ‘성장 과정’에 “아버지께서 김진국 민정수석입니다”라는 내용만 적었습니다. 그리고 ‘학창시절’을 기재하는 난에는 “아버지께서 많은 도움을 주실 겁니다”라고 적었고, ‘성격의 장단점’에는 “제가 아버지께 잘 말해 이 기업의 꿈을 이뤄드리겠습니다”, ‘경력사항’에는 “한번 믿어보시고 저에게 연락을 주십시오. 저는 거짓말 하지 않습니다”라고 기재했습니다. 아울러 김씨는 이력서에 2018년 3월 용인대 격기지도학과를 졸업했다고 적었지만, 실제 용인대를 졸업하지 못했고 다른 대학으로 옮겼다 자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Q. 내용을 보면 ‘부적절한 처사다’ 이런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이는데, 어떻습니까?
이 같은 사실이 퍼지면서 아들 김 씨가 아버지 김 수석의 지위를 이용해 부당하게 취업하려 한 것이라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아버지가 민정수석이다'라는 내용을 써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를 두고 부적절한 처사라는 비판이 이어졌는데요. 절차적 정당성을 지키지 못한 채 소위 '아빠 찬스'를 통한 편법 취업을 노렸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김 수석이 아들의 입사지원서 작성·제출에 개입하지는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이 김 수석이 직접 개입한 사실이 없음에도 사의를 빠르게 수용한 것은 대선을 앞둔 시점에 특히 청년층이 민감한 ‘공정’ 이슈가 불거질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Q. 이러한 논란 속에 결국 임명된 지 약 9개월 만에 청와대를 떠나게 된 김진국 민정수석. 이번 정부 들어 민정수석의 자리가 계속해서 바뀌는 수난사를 겪고 있지 않습니까?
네 그렇습니다. 이번 정부 출범 후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갖은 구설에 휩싸여 왔고, 이 탓에 수석들 역시 오래 자리를 지키지 못하는 일이 반복됐다. 초대 민정수석인 조국 전 수석이 2년 2개월로 비교적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긴 했지만, 이후 자녀의 대학입시 특혜 의혹, 사모펀드 투자 의혹 등이 불거지며 정국을 뜨겁게 달궜다. 뒤를 이은 4명의 민정수석들은 불과 한 사람당 평균 7개월 가량만 자리를 지켰다.

Q. 이후 인적 쇄신을 감행했는데, 임명과 사퇴..같은 수순이 반복됐죠?
네 그렇습니다. 이후 문 대통령은 '비검찰 출신' 민정수석 인선 관행에서 벗어나 신현수 전 수석을 4대 민정수석으로 임명하며 여권과 검찰 충돌의 봉합을 모색했습니다. 그러나 신 전 수석 역시 계속된 청와대-검찰 힘겨루기 속에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한 채 두달여 만에 자리를 떠났는데요. 그렇게 5대 민정수석이 된 김진국 수석의 경우 임기 끝까지 청와대를 지킬 것으로 예상됐으나, 아들의 입사지원서 의혹이 불거지면서 조기 낙마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Q. 기강을 다잡아야 할 민정수석들이 이처럼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청와대를 떠나는 일이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결국 또 다시 공석이 된 민정수석 자리는 어떻게 될까요?
네. 차기 대선이 3개월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6대 민정수석을 발탁하기도 쉽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민정수석실 선임비서관인 이기헌 민정비서관이 당분간 대행을 하지 않겠느냐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취업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이번 논란은 문재인 정부가 내세운 '공정'과는 거리가 멀어 취업준비생의 사기를 꺾을 수 있다는 비난으로까지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드리고 싶은 말씀과 사정이 있더라도 국민들이 느끼실 정서 앞에 청와대는 즉시 부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상 이슈체크였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