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인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 같은 바이오연료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를 위해 정부가 바이오디젤과 함께 바이오에탄올 혼합의무 정책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제언도 잇따랐다. 전기차·수소차 시대는 곧장 오지 않으며, 바이오 연료 혼합 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분석이다.

지난 8일 기후위기시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과 대안 마련을 위해 환경부, 주한미국대사관, 한국바이오연료포럼, 한국바이오에너지협회, 미국곡물협회의 후원으로 열린 ‘기후위기시대와 바이오연료 심포지움’에서 나온 의견들이다.

이날 심포지움에서 유영숙 한국바이오연료포럼 회장(전 환경부장관)은 환영사를 통해 “지구 환경을 개선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는데 있어 바이오연료의 가치와 의미 부여가 제대로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다양한 에너지원들을 찾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노력과 지혜가 긴요하다”면서 “적용 분야가 훨씬 넓은 신재생에너지인 바이오연료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잡혀있지 못해 여러 오해를 낳고 있는 현실을 개선해야한다”고 말했다.

심포지움에 온라인으로 참석한 스테판 뮬러 시카고 일리노이대 수석경제학자는 “한국의 자동차 연료시장 분석을 바탕으로 휘발유에 10% 에탄올을 혼합하는 E10 연료사용 시 연간 3백 10만톤의 탄소저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기차와 에탄올연료 혼합 모두 탄소를 줄이는데 효과적이지만 전기차는 전력원의 탄소감축과 인프라구축에 많은 시간이 든다. 에탄올 혼합유는 즉시 탄소를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 “전기차는 석탄발전 비율이 높을수록, 독일과 같이 원자력 발전비율을 줄인 국가의 경우 감축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스테판 뮬러 박사는 에탄올 혼합의 추가적인 이점으로 내연기관 자동차의 옥탄가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방향족과 같은 유해한 물질을 줄여 대기 환경은 물론 국민들의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도 제시하였다.  

실제로 EU, 일본, 중국 등을 비롯한 세계 57개국에서 대기환경 개선,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바이오에탄올을 도입하고 있다. 그 중 47개국이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바이오디젤 혼합정책은 도입했지만 지난 수년간 충분한 검증이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바이오에탄올 정책도입은 미뤄지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실현가능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수립을 위해서는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고 바이오에너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심포지움 토론자로 나선 상병인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바이오에너지는 원료의 다양성, 에너지화 과정의 복잡성과 다양한 에너지와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에너지 전문가들 조차 이해가 부족하다”면서 “과거의 데이터나 일부의 문제를 들어 바이오에너지가 오염물질을 더 많이 배출한다고 오해하거나 바이오에너지를 논의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상 교수는 “바이오에너지는 탄소중립을 실현할 가장 현실성 있는 에너지 원”이며 “전기차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에는 많은 인프라투자와 시간이 걸리지만 바이오 연료는 기존의 인프라를 사용하여 연료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효율적인 이용과 원료수급을 위한 국가차원의 인프라 구축과 연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SNS 기사보내기